BPS = 순자산 ÷ 발행주식수
1주당 순자산이 얼마인지?
BPS는 청산가치라고도 부르며,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 돌아가는지를 보여줍니다.
BPS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거나 회사 가치가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오늘도 네이버를 한 번 볼까요?
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PS와 마찬가지로 '지배주주지분' 자본총계를 발행주식수로 나눠주되, 자사주는 발행주식수에서 제외하네요.
자, 2020. 12월 기준으로 계산해볼게요~
지배주주지분 자본총계는 73,672억원이구요, 발행주식수는 2020년 사업보고서를 보면 147,459,035주네요.
73,672억원을 147,459,035주로 나눠보면 49,961원이 나옵니다.
이상 BPS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네이버, 위키백과
'주식 > 기초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E(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0) | 2022.02.26 |
---|---|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value Ratio) (0) | 2022.02.25 |
PER(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4) | 2022.02.21 |
EPS(주당순이익, Earning Per Share) (0) | 2022.02.21 |
시가총액 (0) | 2022.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