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ETF(상장지수펀드)

투자설명서 읽기 - ② KODEX 골드선물(H) : 투자결정 시 유의사항 안내

by 세빠 2022. 3. 1.

KODEX 골드선물 투자설명서 2일차입니다.

 

앞에서는 KODEX 골드선물(H)라는 ETF 상품의 개요를 알아봤구요.

2022.03.01 - 투자설명서 읽기 - ① KODEX 골드선물(H) : 개요


투자설명서 2페이지로 넘어가면 목차가 나옵니다.

투자결정시 유의사항 안내
요약정보
제1부는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제2부는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
제3부는 집합투자기구의 재무 및 운용실적 등에 관한 사항
제4부는 집합투자기구 관련 회사에 관한 사항
제5부는 기타 투자자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투자결정시 유의사항 안내를 한번 볼까요?

 

투자할 때 반드시 참고해서 투자결정을 하라고 되어 있구요.
투자 실적에 대한 보장도 없고
투자위험 부분은 자세히 읽어봐야 할 것 같구요
판매회사는 판매만 할 뿐이라고 하네요.

본인이 잘 읽어보고 잘 판단해서 투자해라
뭐 이런 내용이네요.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죠.

금융투자상품에는 증권과 파생상품이 있는데, 파생상품은 다시 장내파생상품과 장외파생상품으로 구분됩니다.

증권이란 투자자가 취득과 동시에 지급한 금전이나 그 밖의 재산적 가치가 있는 것 외에 어떠한 명목으로든지 추가로 지급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금융투자상품을 말한다고 합니다.
채무증권(국채,사채), 지분증권(주식), 수익증권(신탁), 투자계약증권, 파생결합증권, 증권예탁증권이 있구요.

파생상품이란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을 바탕으로 파생된 금융투자상품으로 선도나 선물, 옵션, 스왑 등이 있다고 합니다.

 

실적배당 상품으로 법에 따라 보호받지 못한다고 되어있으며,
조건 미충족시 상장 폐지로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되어있네요.

투자하지 말라고 겁주는 것 같기도 하고.....

집합투자증권이란 집합투자기구에 대한 출자지분(투자신탁의 경우 수익권)이 표시된 것을 의미하며, 투자신탁의 수익증권, 투자회사 주식 등과 같이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자산운용회사가 운용하고 그 결과를 분배하는 금융상품으로 펀드와 혼용되어 쓰이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상장지수투자신탁은 주식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투자신탁 상품을 의미해요.

 

금에 직접 투자하는 실물자산 투자 펀드가 아닌, 실물 원자재 관련 파생상품(선물)에 투자한다고 되어 있구요.
별도의 자격요건이 있는 자만 투자 권유를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네요.

주요 투자 대상은 S&P GSCI Gold Index Total Return의 구성종목인 COMEX에 상장되어 있는
금 선물이나 관련된 ETF, 파생상품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환헷지나 이자소득을 위해 원달러 선물이나 채권에 투자한다고 되어 있네요.

특별자산집합투자기구는 금이나 원유는 물론이고 농산물, 선박, 광물 등 여러 실물 자산 등에 투자하며, 증권집합투자기구로 분류되어 있는 주식, 채권 등의 증권과 부동산을 제외한 투자상품에 투자자산의 50% 이상을 투자하는 펀드라고 해요

이 외에도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하는 부동산 집합투자기구나 투자자산에 특별한 제한을 받지 않고 여러 종류의 투자 대상에 투자하는 혼합자산투자기구도 있다고 해요
COMEX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을 거래하는 뉴욕의 선물거래소로, 세계 최대의 금 선물 시장이라고 해요. 상품거래소(선물거래소), 뉴욕귀금속거래소라고 불리기도 한다고 하네요.
환헤지란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없애기 위해 현재 수준의 환율로 투자에 따른 거래액을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상품의 종목명이 "KODEX 골드선물(H)"인데, 여기서 "H"가 바로 환헤지 상품임을 나타내요. 환율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이익을 포기하고 손해의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환헤지의 목적이지요.

 

선물교체에 따른 손익인 롤오버효과를 포함한다고 되어 있고,
성과는 금 선물의 손익과 롤오버 효과로 구성된다고 되어 있네요.
금 현물 가격이 올라도 이 상품의 수익은 하락할 수 있고, 주식보다 변동성이 높아 위험을 감내해야한다고 하네요.
그래서 위험선호형 투자자에게 적합한, 투자위험등급 2등급의 상품임을 '경고'!!!

마지막도 경고로 마치네요...
설정액이 50억원 미만이면 소규모 펀드에 해당하는데, 이렇게 되면 임의해지가 될 수도 있다고 하네요.

설정액은 대개 펀드에 투자된 금액을 말하고, 수탁고나 설정원본이라고 하기도 한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