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ETF(상장지수펀드)

투자설명서 읽기 - ⑥ KODEX 골드선물(H) : 제3부 집합투자기구의 재무 및 운용실적 등에 관한 사항

by 세빠 2022. 4. 2.

2022.03.01 - 투자설명서 읽기 - ① KODEX 골드선물(H) : 개요

2022.03.01 - 투자설명서 읽기 - ② KODEX 골드선물(H) : 투자결정 시 유의사항 안내

2022.03.03 - 투자설명서 읽기 - ③ KODEX 골드선물(H) : 요약정보

2022.03.04 - 투자설명서 읽기 - ④ KODEX 골드선물(H)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2022.03.07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1)

2022.03.11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2)

2022.03.12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3)

2022.03.13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4)

2022.03.14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5)

2022.03.15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6)

2022.03.16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7)

2022.03.19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8)

 

오랜만에 올리네요.

KODEX 골드선물(H) 제3부. 집합투자기구의 재무 및 운용실적 등에 관한 사항이에요

대주회계법인에서 회계감사를 받은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와 같은 말이에요)와 손익계산서를

요약해서 보여주고 있어요

 

제10기 2019년자료부터 제12기 2021년, 작년자료까지 제공이 되고 있어요

재무상태표의 기본인 "자산 = 부채 + 자본"을 알고 보면 더 좋겠죠?

(저도 사실 재무제표 보는 법은 잘 모릅니다...)

그리고 금액이 큰 부분은 좀 더 유의해서 볼 필요가 있겠죠?

 

운용자산을 보면 증권부분이 확실히 2019년 대비 2020년과 2021년 많이 증가했네요

2020년 시작된 주식투자 열풍을 확인할 수 있어요

 

손익계산서를 보면

2020년 매매/평가차익이 238억이었는데, 2021년은 -170억이네요...

2020년은 손해보기가 힘든 한해였고

2021년은 6월 최고점을 찍은 후 하락했죠....

삼성증권도 피해가진 못했나보네요....

 

요약정보 이후, 상세한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각각 연도별로 확인할 수 있어요



2021년과 2020년 재무상태표를 비교해볼까요?

운용자산을 보면 주식은 크게 변화가 없구요

채권을 보면...2020년보다 2021년 529억이 늘어났네요.

자세한 내용은 모르지만, 부채의 기타 부분도 제법 많이 늘어났네요.

 


 

손익계산서를 비교해보면, 투자수익 중 기타이익이 늘긴했지만,,

매매이익은 줄고, 매매손실의 경우 2020년 대비 2021년에는 거의 2배네요...

앞서 본 것처럼 결국 당기순손실을 봤네요...

 

다음은 연도별 설정 및 환매현황이에요

2020년 회계기간 중 ETF 설정 금액이 많이 늘었네요..

물론 환매 금액도 많긴하지만, 최근 4년 중 기간말 잔고가 가장 많이 늘어난 해가 2020년이네요

코로나 위기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에 대한 투자가 많이 늘어난 거 아닐까요?

 

 

이번엔 집합투자기구의 연평균수익률과 연도별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연평균수익률을 먼저 보면, 확실히 오래 보유하고 있어야 수익률이 좋네요..

 

연도별수익률을 보면, 2019년도하고 2020년도 수익률이 좋네요

 

제3부 마지막은 집합투자기구의 자산구성 현황이에요

채권 비중이 가장 크구요, 집합투자증권과 단기대출 및 예금, 이렇게 총 3개의 자산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제3부는 이렇게 마무리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