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의 기본/경제신문 읽기133

2022. 7. 14.(목) 매일경제 "한은 첫 빅스텝...'연말 기준금리 3% 가능" ● 알게 된 사실 -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 * 한국기준금리 : 1.75%에서 2.25%로 - 물가 급등세가 예상보다 심각한 수준이라는 판단 - 물가 오름세는 오는 3분기 또는 4분기 정점을 찍을 예정이며, 앞으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점진적 인상 - 다만, 대내외 여건 상황에따라 추가 빅스텝 가능성도 - 올해 기준금리 결정회의는 3번(8월, 10월, 11월) 남아있음 - 이달 말 한미 기준금리 역전될 가능성 높음 - 경제성장률은 2%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은 아직 크지 않음 ● 기사 내용 한은 첫 빅스텝…"연말 기준금리 3% 가능" `물가잡기 총력전` 기준금리 0.5%P 인상 단숨에 2.25%로 3연속 인상도 사상 처음 李총재 "점진적으로 더 올릴것" www.mk.co.kr 2022. 7. 14.
2022. 7. 13.(수) 매일경제 "한은, 사상 첫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 알게 된 사실 - 1.75%에서 2.25%로 0.5%포인트 인상 * 미국기준금리 1.75%와 0.5%포인트 차이 - 지난 4월과 5월 이후 사상 첫 3회 연속 인상 - 원자재와 곡물가격 상승, 공급망 차질 등 급등한 물가를 잡기위한 조치 - 한국 지난 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0%로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만에 최고치 - 향후 1년 뒤의 물가 상승률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3.9%까지 치솟음 * 기대인플레가 급등할 경우 기업은 상품과 서비스 가격 인상에 나서고, 근로자는 임금 인상 요구 가능성이 높아져 물가는 더 상승 - 미국 기준금리 0.75% 인상 시 2.25%까지 올라 한국의 기준금리를 웃돌 가능성도 존재 - 외국인 자본유출 우려 - 금리 인상이 이자부담 증가.. 2022. 7. 13.
2022. 7. 13.(수) 매일경제 "재산세 깎아줬지만...총액은 5% 늘었다" ● 알게 된 사실 - 주택 공시가격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오르고, 감면 혜택이 1주택자에게 집중되면서 서울시 주택분 재산세 증가 - 서울시 올해 7월분 주택·건축물·항공기 등에 대한 재산세는 474만건, 2조4374억원 * 이 중 주택분 재산세는 1조7380원 * 주택분 재산세는 전체 총액을 절반으로 나누어 7월과 9월 두차례 부과 - 1주택자는 고가 주택을 보유하고 있어도 보유세 부담이 크게 감소하지만, 다주택자들은 여전히 부담 - 강남, 서초, 송파구 3개 자치구가 전체 재산세 부과액의 38.9% 차지 - 7월 재산세의 납부기한은 8월 1일, 기한을 넘기면 3% 가산금 추가 부담 ● 기사 내용 재산세 깎아줬지만…총액은 5% 늘었다 서울시, 7월분 재산세 고지 稅혜택 없는 다주택자 타격 공시가 6억 .. 2022. 7. 13.
2022. 7. 13.(수) 매일경제 "테슬라 이어 리비안도 감원...미국 '해고 쓰나미' 덮친다" ● 알게 된 사실 - 미국 경제의 더블딥(이중 경기 침체) 우려와 맞물려 감원 진행 중 -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 인플레이션 통제 위해 5년 이상 실업률 5% 유지 - 미 연준 역시 인플레이션 억제 과정에서 고용시장 둔화 불가피 ● 기사 내용 2022.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