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기본/경제신문 읽기133 2022. 7. 13.(수) 매일경제 "한은 빅스텝 앞두고...달러당 원화값 1312원 '연중 최저'" ● 알게 된 사실 - 유럽의 에너지 위기와 미국의 높은 물가 상승률 등 대외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외환시장 요동 - 달러당 원화값은 연중 최저치, 유로당 달러가치는 20년 만에 1대 1비율에 근접(패리티 현상) - 13일 예정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빅스텝(기준금리 0.5% 인상) 전망에도 대외 악재에 원화값 하락 ● 기사 내용 한은 빅스텝 앞두고…달러당 원화값 1312원 `연중최저` 유로화 급락, 달러가치와 `1대1` www.mk.co.kr 2022. 7. 13. 2022. 7. 12.(화) 매일경제 "전세대출 이자 내느니 월세 사는 게 이득...'월세 난민' 쏟아진다" ● 알게 된 사실 - 전세의 월세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서민층의 주거비용 부담 증가 * 올해 월세 비중 지속적 증가 * 월세 가격 2019년 12월 이후 30개월 연속 상승세(최근 주택 매매가격과 전셋값의 하락세와는 대조적 움직임) * 소득 대비 임차료 증가 * 전셋값 상승 우려도 존재 -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뒤 신규 계약을 앞둔 전셋집들의 전셋값 상승 여지 - 갭 투자에 나섰던 주택들의 깡통전세, 역전세난도 우려 *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세입자가 돌려받지 못한 전세보증금은 3400억 여원으로 사상 최대 ● 기사 내용 전세대출 이자 내느니 월세 사는게 이득…`월세 난민` 쏟아진다 월세 비중 1월 45%서 4개월만에 60% 껑충 전셋값 하락에도 월셋값 30개월 연속 상승 월세전환.. 2022. 7. 12. 2022. 7. 12.(화) 매일경제 "김주현 '9월 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 없다...공매도 금지 검토" ● 알게 된 사실 - 2020년 4월부터 6개월 한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 코로나19 금융지원(대출 만기 연장과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은 그동안 네 차례나 연장 - 최근 금융시장 상황으로 저신용자 비중이 높은 2금융권은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 등이 종료되면 그동안 감춰진 부실이 드러날 수 있어 2금융권 부실 우려도 있음 - 또한 최근 변동성이 커진 주식시장에도 공매도 금지도 검토 중이라 언급 * 공매도 :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떨어질 떄 해당 주식을 사서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내는 투자 방법 ● 기사 내용 김주현 "9월 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 없다…공매도 금지 검토" 김주현·이복현 체제 출범 133조 규모 코로나 금융지원 예외적 상황 끝내는게 바람직 2금융권 건전성.. 2022. 7. 12. 2022. 7. 12.(화) 매일경제 "주식·채권·부동산 동반 하락...세계경제 2차 충격 온다" ● 알게 된 사실 - 연준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긴축을 해야하고, 인플레이션이 통제되면 상황이 다시 좋아질 것이라 하지만 순진한 발상일 뿐 - 달리오가 연준의 금리 인상이 스태그플레이션을 초래할 것이라고 확신하는 까닭은? * 현재 인플레이션 형태는 소비지출이 그대로인 가운데 상품·서비스 양이 감소해 발생하는 '공급발 인플레이션'인데, 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하면 구매력만 하락 * 따라서 금리 인상을 끝내더라도 공급이 증가하지 않는 한 물가는 여전히 높고 구매력만 하락해 스태크플레이션일 올 것 *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금리를 인상할 것이 아니라 생산성을 높여야 함 - 경기가 정점일 떄는 신용시스템에 일부 문제가 생겨도 고용 등이 탄탄해 경제가 취약해지는 것을 감지하기 어려움 - 오히려 실업률 곡.. 2022. 7. 12. 이전 1 2 3 4 5 6 7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