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자기계발

당신도 지금보다 10배 빨리 책을 읽는다

by 세빠 2022. 2. 18.

 


속독 챔피언이 알려주는 1일 10분 속독법


주식 공부를 하면서, 그리고 독서에 취미가 생기면서, 그리고 책을 사모으는데 희열을 느끼면서
속독에 대한 관심이 많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예스24에서 속독을 검색해서 찾은 책 중에 눈에 띄는 게 이 책이었습니다.

저자가 일본인이라, 한국인인 나한테 과연 책이 맞을까 싶기도 했지만,
적립금 2천원이 있어서, 1만원이라는 돈으로 일단 책을 구매했습니다.

인터넷에서 속독을 검색해보니 썩 좋은 독서법은 아니라는 글들이 보여서, 괜히 샀나 싶기도 했지만,
평소 어떤 책이든 그 속에서 하나라도 건질 게 있다면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기에 읽어보기로 했습니다.

책에도 있는 내용이지만, 속독에 대한 오해가 있습니다.
유튜브에도 유명한 영상인, 엄청난 속도로 책을 읽는 학생 혹시 아시는지요?

진실인지 거짓인지 전 알지 못하지만,
저런 사람들을 보면 속독은 재능이 있는 사람만 하는 거라는 생각으로
나도 속독을 할 수 있을까 라는 의심이 많이 있었습니다.

저자는 속독이 내 인생을 더 좋게 만드는 도구라고 합니다.
저는 그 학생만큼의 능력은 바라지도 않고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텍스트를 지금보다 빠르게 읽고 이해하는 것이면 족합니다.



책에서는 읽다와 속독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습니다.

읽다 : 시선을 이동한다 → 글자를 본다 → 내용을 인식한다
속독 : 빠르게 시선을 이동한다 → 빠르게 글자를 본다 → 빠르게 내용을 인식한다

뭐 특별한 것도 없습니다.
그냥 빠르게 읽는 것인데, 다만 글자를 '읽으며 이해'하는 게 아니라 '보며 이해'하는 것이라 합니다.
보며 이해한다는 것은 우리가 간판이나 식당 메뉴를 볼 때, "저게 뭐다." 라고 순간적으로 인식하는 상태라고 합니다.

결국 글자를 보는 폭을 넓혀서 보다 빠르게 인식이 가능하도록 훈련하는게 속독법이라는 겁니다.

빠르게 읽으면 과연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생길 것입니다.
저도 책을 읽다가 느끼지만, 천천히 읽는다고 해서 그만큼 제대로 이해하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해보다는 먼저 글자의 인식 범위를 넓혀 빠르게 읽는 것을 목표로 해야 저자는 말합니다.
그래서 중요한 것이 시야에 글자 덩어리가 순간적으로 들어오도록 하는 연습입니다.

또 한가지, 읽는 도중에 책에 집중하지 목하고 이런저런 딴 생각을 하는 것 역시 문제입니다.
책을 읽는 속도가 늦으면 단어나 문장 사이사이에 잡념이 끼어들기 마련이라고 합니다.
결국 이 말은, 읽기가 늦는 게 아니라 읽지 않는 시간이 너무 길다고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문장을 이해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단어 그 자체의 인식은 좌뇌(의식)에 축적된 지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단어 간의 연결을 인식하는 것은 우뇌(무의식)에 축적된 경험에 의해서라고 합니다.

결국 좌뇌와 우뇌, 양쪽을 균형있게 사용하면 문장 이해력이 높아지게 되고,
평소 사용하지 않는 우뇌는 속독을 통해 사용을 늘릴 수 있으니
이 또한 속독이 필요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



속독의 관건은 그동안의 읽기 습관을 버리고 '읽으며 이해'에서 '보며 이해'로 넘어갈 수 있는지 여부라고 합니다.

그리고 속독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되고 싶은 자신이 되기 위한 자아실현의 한 수단이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속독법을 익히는 것이 또 다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수단이어야 한다는 말을
책에서 몇 번이고 언급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저는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투자를 위해 많은 책을 읽기 위한 수단으로 속독법을 읽히는 것이며,
그 외에도 많은 분야의 책을 읽기 위해서라든지,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라든지,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라든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속독법을 익히라는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서 과연 내가 속독을 할 수 있게 될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또 책 한 권을 읽을 수 있었고,
속독법 트레이닝 자체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할 수 있는 유용한 것들이 많아
자투리 시간에 한 번씩 해보려고 합니다.

당신도 지금보다 10배 빨리 책을 읽는다.

'독서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기의 공식 PREP  (6) 2022.01.09
기획의 정석  (0) 2022.01.01
완벽한 공부법(11) - 일  (0) 2021.12.30
완벽한 공부법(10) - 독서  (4) 2021.12.29
완벽한 공부법(9) - 창의성  (1) 2021.12.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