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01 - 투자설명서 읽기 - ① KODEX 골드선물(H) : 개요
2022.03.01 - 투자설명서 읽기 - ② KODEX 골드선물(H) : 투자결정 시 유의사항 안내
2022.03.03 - 투자설명서 읽기 - ③ KODEX 골드선물(H) : 요약정보
2022.03.04 - 투자설명서 읽기 - ④ KODEX 골드선물(H)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2022.03.07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1)
2022.03.11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2)
앞에서 대부분 확인을 했던 내용들이라 한번 읽어보면 될 것 같구요.
환헤지는 28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을 해주고 있어요.![]() |
환헤지에 대해서 예시를 다음과 같이 들어놓았어요
환율의 변동이 금 선물 가격 등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환헤지를 통해서 상쇄시키고 있는 걸 볼 수 있어요.
금선물 가격의 등락이 그대로 반영이 되고 있는 셈이지요.
다른 건 어려운 게 없는 것 같구요
기초지수 구성종목 변경이 1월, 3월, 5월, 7월, 11월의 5일째 영업일부터 9일째 영업일까지 5일간,
하루에 20%씩 일어나면서
마지막 영업일인 9일째 영업일 종료시간에는 100% 이연이 완료되서
차근(다음)월물로 변경이 완료되겠지요.
이연이라는 말은 사전적의미로 "시일을 차례로 미루어 나감"이라고 되어 있고
그리고 선물은 "장래의 일정한 시기에 현품을 넘겨준다는 조건으로 매매 계약을 하는 거래 종목"이라고 해요.
저도 여기서 정확하게 이연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지만,
만약 선물 계약 만기일에 차근 월물로 교체하지 않으면
해당 물품(여기서는 금이겠지요?)을 내가 직접 받아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거예요.
금은 좀 낫지만, 원유 선물은 직접 받아서 어떻게 할까요......
그래서 최근 월물을 차근 월물로 교체해서 계약을 이어나가게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그리고 이연의 의미를 대입해보면, 선물 계약 시일을 차근 월물로 미루는 것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기초지수 수익률과 해당 투자신탁 수익률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어요.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을 것 같구요
"기초지수 * 100%"로 비교지수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네요.
'주식 > ETF(상장지수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5) (0) | 2022.03.14 |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4) (0) | 2022.03.13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2) (2) | 2022.03.11 |
투자설명서 읽기 - ⑤ KODEX 골드선물(H) : 제2부 집합투자기구에 관한 사항(1) (2) | 2022.03.07 |
투자설명서 읽기 - ④ KODEX 골드선물(H)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0) | 2022.03.04 |
댓글